SSPL(Software & System Product Line Engineering)
SSPL(Software & System Product Line Engineering)이란
-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는 모든 시스템 개발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효과적인 패러다임으로서 제품군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통한 포트폴리오 구성(SSPL Scoping) 및 요구 사항 분석, 공통적인 요소(공통성)와 가변적인 요소(가변성)를 구별하여 자산화하고 플랫폼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자산의 체계적인 재사용 및 다양한 자동화 도구 활용을 가능케하여, 제품과 서비스의 차별화/지능화, 개발 기간 단축(짧은 개발기간), 개발 비용 절감(적은 비용), 품질 향상 등의 목표를 달성하면서 고객맞춤의 대량생산을 가능케 하는 21C 선진 생산방식임
- EU가 자동차, 항공기, 의료기기, 통신기기 등의 산업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있어 핵심 역할을 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적용한 기술로서 1990년대 초부터 EU의 핵심 SW R&D과제로 추진되어 오고 있으며 보쉬, 에어버스, 지멘스, 필립스, 탈레스, 노키아, 에릭슨, 보잉 등 100개 이상의 전세계 주요기업이 SW경쟁력 확보기술로 발전시키면서 ISO를 중심으로 세계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
목적
- 21C 다품종 대량생산을 위한 플랫폼·가변성모델 기반 SW개발 기술을 보급
활동 내용
- 2011년 9월 CTO 및 기술임원으로 구성된 공동 스터디 그룹을 구성하여 총 33회의 워크샵 개최
- 60개 이상의 SSPL 주제에 대한 발표와 Q&A, 토론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‘SSPL 이해와 적용전략’이라는 책자 발간
- SSPL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을 발굴하여 적용 실천계획의 수립부터 실천내용에 대해 정기적으로 진행실적을 검토하고 단계별 추진계획을 공동으로 수립, 점검
SSPL 핵심 영역
5개 영역 | 세부 영역 |
---|---|
제품군 정의 | 제품군 범위결정(Scoping), 가치관리, SSPL로의 전이, 제품군 관리, 제품군 품질관리, 조직 차원에서의 측정 메트릭 |
제품군 플랫폼 개발 | 도메인 아키텍처 스타일, 도메인 아키텍처 description |
가변성 모델링, 가변성 메커니즘, 바인딩을 위한 규칙 및 제약조건 | |
도메인 V&V (도메인 공학에서의 정적 시험, Mock-up, 정형모델 등) | |
도메인 아키텍처 비용/이익 평가, 도메인 아키텍처 트레이드오프 평가 | |
제품군 멤버제품개발 |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 도출, 아키텍처에서의 바인딩 메커니즘, 도메인 아키텍처와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아키텍처 구조와의 통합, 조정 |
어플리케이션 V&V (어플리케이션 공학에서의 정적시험, 정형모델 등) | |
재사용 자산 베이스 구축 | 공통/가변 자산 버전관리, 플랫폼 형상 관리, 제품 형상관리 |
도메인 및 어플리케이션 공학에서 추상화 수준이 다른 추적성 | |
제품개량 | SSPL 심사 프로세스 모델, SSPL 프로세스 심사 프레임워크, Exemplar SSPL 프로세스 심사 모델 |
SSPL 인증 모델, 인증 가이드라인 |
SSPL 소개책자
-
세계의 대표적인 SSPL 관련 유럽 및 미국의 대표서적 4권과 SSPL 관련 1,000개의 논문 중 엄선된 22개 주제에 대한 요약 정리문과 전문가 질의응답 토의내용 수록
SSPL 소개책자 구입 및 문의
- KOSTA 기술기획정책팀 T. 031-606-9302